본문 바로가기

Hardware73

옥토프린터 수동 설치 방법과 옥토파이로 자동설치 하는법 모두 알아봅시다 옥토프린터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OctoPi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옥토파이 설치는 포스팅 뒷부분을 참고해주세요) OctoPi는 라즈베리파이를 옥토프린터를 사용하는데 최적화된 세팅으로 미리 만들어둔 라즈비언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의 부팅 이미지로 옥토파이를 선택하면 운영체제와 옥토프린터 그리고 각종 필수 플러그인까지 모두 한 번에 설치할 수 있죠. 하지만 옥토프린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라즈베리파이 3B+ 이상을 사용하시는데 라즈베리파이를 옥토프린터만 사용하기에 오버스펙이라 아까운 것 같습니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를 범용 라즈비안을 설치하고 옥토프린터를 별도로 설치해 봤습니다. 먼저 라즈비안이 설치된 라즈베리 파이를 준비합니다. 라즈비안.. 2020. 9. 24.
3D프린터 타임랩스 촬영하기 - M240 코드로 스마트폰 카메라 트리거링 3D 프린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수 있을 텐데요. 3D 프린터를 사용해서 만들어낸 결과물보다는 그걸 만들어 내는 과정 자체가 신기하고 재미있어서 필요는 없지만 그냥 뽑아보는 그런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 순간으로 없어져버리는 출력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동영상으로 찍어놓기에는 너무 무모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타임랩스 영상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 시작했고 그 첫 번째 타임랩스 만들기 위한 방법을 공유합니다. 먼저 처음으로 만들어본 타입랩스 결과부터 먼저 보고 시작하시죠. ^^ 타입랩스 영상을 만들기 가장 쉬운 방법은 3D 프린터 옆에 핸드폰을 고정하고 타임랩스를 찍어주는 앱을 깔아서 출력하는 동안 촬영을 하는 방법.. 2020. 9. 15.
중간에서 멈춘 3D 프린터 출력물 심패소생, Gcode 수정으로 멈춘 위치에서 이어서 출력하기 3D 프린터 사용할 때 갑자기 출력이 중단되는 것만큼 난감한 상황도 없습니다. 몇십 분짜리 작은 모델 출력 중이라면 다시 하면 되지만 몇 시간짜리 출력 중인데 절반 이상 출력했거나 아니면 거의 다 끝나갈 무렵 출력이 멈춘다면 멘붕 멘붕 그런 어처구니없는 상황은 또 없습니다. 그런 난감한 상황에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멈춘 부분부터 나머지 출력을 이어서 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모델을 출력중에 난감한 상황을 겪었습니다. 겨우 92개 레이어에 3시간 남짓한 출력시간이 소요되는 출력물로 3D 출력 계에서는 보잘것없는 모델에 불과하지만 3시간 이상 걸리는 작업에서 이미 2시간을 넘어서 출력이 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SD카드 오류가 떠서 멍청하게 멈춰있는 프린터를 봤을 때.. 2020. 9. 7.
ESP8266 펌웨어 무선(OTA) 업데이트 ESP8266 Wifi 모듈에서 스케치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하는 OTA(Over the Air) 사용방법입니다. OTA는 무선으로 펌웨어나 설정, 보안 사항 등 변경 내용을 무선으로 배포하는 방식을 총칭하는 용어인데요. ESP8266 모듈에서도 이 스마트해 보이는 기능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요즘 많이 사용하는 ESP01 모듈의 경우 USB 포트가 없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해서 올릴 때마다 프로그래밍 보드에 연결하는 수고를 들여야만 합니다. 게다가 만약 어떤 프로젝트의 부품으로 패키징이 완성된 어떤 디바이스에 사용 중이라면 코드를 변경하기 위해서 조립된 패키징을 열어서 ESP 꺼내와서 컴퓨터에 연결해야지 업데이트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이럴 때 OTA를 사용하면 컴퓨터.. 2020. 9. 2.
ESP01 모듈로 만드는 IoT 웹서버 - WIFI로 전등 켜기 요즘은 ESP8266 보드를 아두이노 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USB 포트가 없어서 별도로 USB-UART 변환 도구가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크기도 작고 와이파이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생활의 활용도 면에서 더 장점이 많지 않나 싶습니다. 오늘은 지금까지 ESP01 모듈에 Blynk 라이브러리를 올려서 만들었던 와이파이 스위치를 Blynk 대신 ESP8266WebServer.h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ESP01 모듈 자체를 웹서버로 만들어서 와이파이 스위치 기능을 구현하려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 내용은 아래 2개의 링크 참고해 주세요. ESP01 모듈 활용, 핸드폰으로 켜고 끄는 IoT 전등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ESP01 모듈에 Blynk를 이용해서 모듈의 내장 LED를 .. 2020. 8. 28.
analogRead() & AREF핀 사용법 아두이노에서 아날로그 전압값을 읽어야 할 때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REF(Analog Reference) 단자의 사용방법 알아보겠습니다. analogRead() 아두이노 보드에는 10비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가 있어서 입력되는 값을 10비트 그러니까 1024개로 쪼개서 그 정도를 0에서 1023의 디지털로 표시하게 됩니다.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예로 들면 6 채널 AD 컨버터가 있어서 A0~A5핀을 아날로그 입력 핀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5V로 동작하는 보드이기 때문에 0~5V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 만약 아날로그 핀에 0V가 걸리면 0이 그리고 5V가 걸리면 1023이라는 숫자를 읽어오게 되고 그 이상의 전압이 걸리게 되면 1023으로만 표시됩니다. 그래서 숫자 "1"이 의미하는.. 2020. 8. 28.
ESP01 모듈 활용, 핸드폰으로 켜고 끄는 IoT 전등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ESP01 모듈에 Blynk를 이용해서 모듈의 내장 LED를 핸드폰으로 껐다가 켜는 예제를 한번 따라 해 봤었습니다. 원격으로 스위치 제어를 하기 위한 로직을 구현해 봤으니 이번에는 실제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IoT 스위치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알리를 검색하다보니 ESP01 모듈로 사용할 수 있는 릴레이 제품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ESP01 모둘의 GPIO 핀의 신호를 받아서 릴레이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모듈 형태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ESP01 Relay module"이라고 검색하면 되고 가격도 1달러가 되지 않습니다. ESP01 모듈을 포함해도 3달러가 넘지 않으니 부담 없이 한번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해서 제어를 해볼 제품은 전등으.. 2020. 8. 27.
ESP8266-01 모듈로 Blynk 시작하기 - 원격으로 LED 켜고 끄기 Blynk라는 솔루션을 아시나요? 엄청 편리하고 디자인도 이쁘고 거기다가 무료(일부만)라서 많이들 사용하실텐데요. 아두이노, ESP8266 등 컨트롤러를 컴퓨터와 유선으로 혹은 BT, WIFI를 이용해서 무선으로도 연결해서 IOT 프로젝트를 구현해볼 수 있는 그런 서비스입니다. Blynk Join the most popular IoT platform to connect your devices to the cloud, design apps to control them, and manage your deployed products at scale blynk.io 오픈소스 기반의 라이브러리와 다양한 예제가 제공되고 핸드폰용 어플도 매우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잘 만들어져 있어서 처음 시작해도 손가락 몇번.. 2020. 8. 18.
DC Step-up 모듈 MT3608 직류 승압 모듈 MT3608입니다. 저전압의 전원 소스를 사용해야 할 때 필요한 작동 전압으로 승압시켜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듈입니다. 저는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하는데 3.7V의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성은 아주 단순합니다. 입력 전원 +, - 와 승압된 출력 전원 +, - 단자가 각각 있어서 입력된 전압을 설정값에 맞게 승압해서 내보내 주는 그런 역할을 하는 모듈입니다. 중요한 스펙 몇 가지만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칩셋: MT3608 입력 전압: 2 ~ 24 V 출력 전압: 5 ~ 28 V 최대 전류: 2A 저는 5V의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출력을 5V로 설정하였습니다. 전원 공급장치에서 약 3V정도의 전압을 걸어준 상태에서 모듈 중간 부분의 가변저항을.. 2020. 8. 17.
ESP3D 설정 및 사용법 지난 포스팅(https://kwonkyo.tistory.com/376)에서 ESP01 모듈을 이용해서 ESP3D를 업로드하고 Trigorilla 보드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설치된 ESP3D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설치가 잘 되어 있다면 Anycubic Delta Kossel 프린터기 기준으로, 프린터기를 켜면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 시 지정한 SSID로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이 완료되면 할당받은 아이피 주소가 화면 하단에 나타나게 됩니다. 이제 핸드폰이나 PC에서 아이피주소를 통해서 ESP3D에 접속해 줍니다. ESP3D for Marlin ESP3D의 웹서버 GUI 화면입니다. 우측 상단의 메뉴에서 "Preferences" 를 눌러보면 Dashboard .. 2020. 8. 12.
PlatformIO.ini 설정 모음 Platformio에서 보드별로 "platformio.ini"를 설정하는 방법을 모아둔 페이지 입니다. 공통 [common] lib_deps = [의존 라이브러리명] lib_dir = [사용자 라이브러리 폴더명] lib_deps = ${common.lib_deps} 아두이노 우노 [env:uno] platform = atmelavr framework = arduino board = uno 아두이노 나노 [env:nano] platform = atmelavr framework = arduino board = nanoatmega328 ESP8266 [env:esp8266] platform = espressif8266 board = esp01_1m framework = arduino 2020. 8. 8.
리튬폴리머 배터리 + 충방전 및 배터리 보호 모듈(TP4056, DW01A) 아두이노로 나만의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나면 활용까지 해봐야 할 텐데, 대부분의 개발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PC의 USB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완성된 아두이노 프로젝트를 사용하기 위해서 매번 PC를 켜는 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상황이고 야외에서 사용해야 하거나 할 때는 PC를 가지고 다닐 수도 없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변 전자기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배터리 충전 모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리튬폴리머 배터리 배터리는 종류가 참 많습니다. 충전을 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충전은 안되지만 마트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알카라인 건전지도 있고 전압도 손가락 만한 AAA, AA 규격의 건전지는 1.5V이고, 네모난 9V의 건전지도 있습니다. 이런 건전지들 중에서.. 2020. 8. 5.
Anycubic Delta Kossel - WIFI 모듈 설치 및 무선 시리얼 통신 (ESP01+ESP3D) 세상에는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3D 프린터 처음 사서 조립하면서도 어떻게 이런 생각을... 그리고 어떻게 이런 걸 오픈소스로... 그리고 Anycubic은 이걸 이렇게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키트화 할 생각을... 등등으로 끝없는 감탄을 했던 게 얼마 전인 것 같은데 여기에 이제 WIFI모듈을 연결해서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생각을 하고 있다니 다시 한번 감탄을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렴한 ESP01 모듈에 ESP3D라는 솔루션을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Anycubic Delta Kossel 프린터를 무선으로 접속해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다루고자 합니다. 준비물 먼저 필요한 준비물입니다. 당연히 가장 중요한 ESP01 모듈(1M 메모리짜리) 필요하고 그.. 2020. 7. 26.
VS Code로 아두이노 업로드 - PlatformIO IDE 저는 Arduino IDE의 대안으로 Visual Studio(VS)에 Visual Micro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깔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VS가 매우 무거운 프로그램이긴 하지만 그만큼 생산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Visual Studio Code(VS Code)에서도 아두이노를 코딩하고 업로드할 수 있는 "PlatformIO IDE(PIO)"라는 새로운 옵션을 알게 되어서 소개합니다. VS Code는 오픈소스의 텍스트 에디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픈소스답게 방대하고 막강한 확장 프로그램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코드 개발을 지원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점유율이 급상승한 인기 프로그램입니다. 다양한 익스텐션을 활용하면 Visual Studio 못지않.. 2020. 7. 24.
PlatformIO IDE - UnicodeDecodeError 해결하기 Vsivual Studio Code + PlatformIO(PIO) 환경에서 아두이노 프로젝트 컴파일 할 때, 코드에 주석을 한글로 달아둔 경우 드물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UnicodeDecodeError" 말 그대로 유니코드로 해석이 안됩니다 라는건데요. 뒤에 'cp949' 라는 부분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인코딩의 한 종류로, 949번 코드페이지, 그러니까 한글 인코딩을 얘기하는 겁니다. cp949 말고 다른 메시지가 나올 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이 문제의 원인은, PIO가 파이썬3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파이썬에서 유니코드 인코딩의 텍스트를 읽어오는데 어떤 이슈가 있는것 같습니다. 대충 찾아본 바에 따르면 PIO차기 버전에서는 내장 파이썬 엔진 사용해서 이런 문제가 해결.. 2020. 7. 23.